본문 바로가기

철학19

우주의 원리를 탐구한 전설의 철학자, 엠페도클레스 ‘고대 철학자’ 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아리스토텔레스나 플라톤을 떠올립니다.저 또한 철학사상을 정립한 고대 철학의 시초는 이들이라고 생각하는데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보다 앞선 시기에 활동한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피타고라스, 헤라클레이토스, 엠페도클레스는 자연 세계의 본질을 탐구한 철학자로 대표할 수 있습니다. 피타고라스는 수학자로서 우리에게 친근한데요, 오늘은 조금 생소한 인물일 수 있는 엠페도클레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그에게 전설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는 것인데요그는 자신이 신과 같은 존재라고 주장했고, 사람들이 그를 믿게 하기 위해 에트나 화산의 분화구로 뛰어들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요. 그 때, 화산이 그의 신발 한 짝을 밖으로 내뱉었고, 이를 통해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알.. 2025. 3. 31.
로버트 킹 머튼의 연구와 사상 로버트 킹 머튼(1910~2003)은 미국의 사회학자로서 과학사회학, 구조기능주의, 중범위 이론 등의 개념을 정립한 인물입니다. 그는 ‘탈코트 파슨스(Talcott Parsons)’의 거시적 구조기능주의를 보다 실증적인 접근 방식으로 발전시키면서 현대 사회학에 중요한 기여를 했습니다. 머튼은 사회 구조와 개인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사회적 기능, 아노미 이론, 참조집단(reference group), 예기 사회화(anticipatory socialization), 자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등의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1. 기능주의와 중범위 이론머튼은 기능주의적 관점을 수용했지만, 기존의 거시적 기능주의가 갖는 한계를 지적하며 "중범위 이론"(middle-range theo.. 2025. 1. 30.
《파이돈》 -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이야기와 이데아 플라톤의 《파이돈(Phaedo)》은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순간을 기록한 철학적 대화편으로, 영혼의 불멸성과 죽음의 의미를 탐구하는 작품입니다. 이 대화편은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고 죽기 직전에 나눈 대화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영혼의 본질과 사후 세계에 대한 깊은 논의를 담고 있습니다. 파이돈은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에 속하며, 플라톤의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핵심 개념들이 제시됩니다. 특히 “이데아론(Theory of Forms)”과 영혼의 존재에 대한 논의는 이후 서양 철학의 중요한 주제가 됩니다.앞서, 기원전 399년 아테네 법정에서 신성모독과 청년 타락 혐의로 기소되어 사형을 선고받은 소크라테스는 감옥에서 지낸 한달 여 동안 그의 제자들과 철학적 논의를 이어갔으며, 마지막 날에는 그의 친구들과 함께 .. 2025. 1. 23.
막스 베버 - 현대 사회학의 기초 막스 베버(Max Weber, 1864~1920)는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경제학자, 법학자, 역사학자로, 현대 사회과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연구는 자본주의, 관료제, 종교, 권력, 사회 계층 구조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며, 특히 그의 방법론과 분석 틀은 사회학뿐만 아니라 정치학, 경제학, 역사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1. 방법론과 학문적 접근베버는 사회학 연구에서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사회 현상을 개인의 행위에서 출발하여 설명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그는 인간 행위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사회 행위(social action)’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사회학을 "사회적 행위를 그 의미.. 2025. 1. 20.
《크리톤》 사회계약론의 시초 지난 글에서 《소크라테스의 변론》을 읽어보았습니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플라톤 《크리톤》은 사형을 선고받은 소크라테스의 마지막 순간을 다룬 철학적 대화편입니다. 이 작품은 기원전 399년,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처형을 기다리는 동안 그의 오랜 친구 크리톤(Crito)과 나눈 대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크리톤》은 단순한 탈출 제안을 둘러싼 논의가 아니라, 법과 정의, 도덕적 책임, 개인과 국가의 관계 등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철학적 저작입니다. 소크라테스는 크리톤의 탈출 제안을 거부하며, 공동체의 법과 정의를 지키는 것이 개인적 이익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앞서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을 변호했지만, 배심원단은 유죄를 선고하고 사형을 결정합니다.. 2025. 1. 19.
『소크라테스의 변론』 읽기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Plato)이 저술한 작품으로, 기원전 399년에 있었던 소크라테스(Socrates)의 재판과 그 변론을 담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당시 아테네 민주정에서 반역적인 사상을 퍼뜨렸다는 이유로 기소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사형을 선고받습니다.소크라테스가 재판에 서게 된 배경에는 다양한 정치적·사회적 요소가 얽혀 있는데요, 당시 아테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에서 스파르타에 패배한 후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전쟁 후 과두정(Thirty Tyrants)이 잠시 세워졌으나, 곧바로 민주정이 복원되면서 과거의 잔재를 청산하는 움직임이 강했습니다.소크라테스는 스파르타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오해받았으며, 그의 제자 중 .. 2025.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