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타불라 라사! 존 로크의 경험론 '타불라 라사'는 라틴어로 '아무것도 쓰여있지 않은 석판'을 뜻합니다.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는 영국 경험론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그의 사상은 근대 철학과 정치사상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그의 경험론은 "인간의 모든 지식은 경험에서 비롯된다"라는 주장을 중심으로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그는 인식론, 정치 철학, 교육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논의를 전개했습니다.  1. 경험론의 기본 원리로크는 그의 주요 저서 "인간오성론"(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에서 경험론의 기초를 세웠습니다. 그는 인간의 마음이 "백지(tabula rasa)"와 같다고 주장하며, 모든 지식은 경험에서 출발한다고 보았습니다. 이 관점.. 2025. 1. 5.
프랑스 철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구조주의 인류학자이자 철학자로, 현대 인류학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그는 인간 사회와 문화의 구조적 원리를 탐구하며, 신화, 언어, 친족 체계 등을 분석해 보편적인 인간 사고의 패턴을 밝히고자 했습니다. 레비스트로스의 사상은 인류학뿐만 아니라 철학, 문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심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생애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프랑스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문학과 예술에 관심이 많았으며, 파리 대학교(소르본)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고등학교 철학교사로 일하다가 1930년대 말 브라질 상파울루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본격적으로 인류학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브라질에 머무는 동안 그는 아마존의 .. 2025. 1. 4.
'앙리 베르그손' - 인간실존에 관하여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1859년 10월 18일 ~ 1941년 1월 4일)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20세기 초 프랑스 철학을 대표하는 중요한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그는 생명, 시간, 자유, 창조성 같은 주제를 철학적으로 탐구하며, 당시의 유물론적이고 과학 중심적 세계관에 도전하는 독창적인 사상을 제시했습니다. 생애 앙리 베르그손은 프랑스 파리에서 유대인 음악가 아버지와 영국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부터 학문적 재능을 보였으며, 파리의 고등학교에서 수학과 철학을 공부했습니다. 베르그손은 특히 철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해 철학을 전공했습니다. 1881년, 베르그손은 철학 교수 자격시험인 ‘아그레가시옹’에 합격한 후 중등학교 교사로.. 2025. 1. 4.
에리히 프롬의 소유와 존재 에리히 프롬의 대표 사상에리히 프롬(Erich Fromm)은 심리학과 철학, 사회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인간의 본질과 현대 사회의 문제를 통찰한 사상가입니다. 그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 사회이론을 통합해 인간 존재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인간의 자유, 사랑, 존재, 소유와 같은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를 통해 현대 사회가 직면한 심리적·사회적 병폐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합니다. 1. 자유와 고립프롬은 인간이 자유를 원하면서도 자유로 인해 고립과 불안을 느끼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고 봤습니다. 그는 인간이 자유를 두려워해 권위에 의존하거나 집단에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경향을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자유는 이러한 의존에서 벗어나 자신의 독립성을 획득하고, 타인과의 .. 2025. 1. 4.
리처드 팔머의 해석학에 대하여 리처드 팔머(Richard E. Palmer)의 해석학(Hermeneutics)리처드 E. 팔머(Richard E. Palmer)는 해석학(Hermeneutics)을 철학적,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으로 심층적으로 탐구한 학자로, 영어권에서 해석학의 발전과 확산에 중대한 기여를 한 인물이다. 그의 저서  “해석학: 이론의 역사와 현대적 해석”은 해석학의 역사적 전개와 주요 철학자들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중요한 저작이다. 팔머는 해석학을 단순히 텍스트의 해석 방법론으로 국한하지 않고, 인간 존재와 경험을 이해하는 본질적 접근 방식으로 제시했다. 아래에서는 그의 해석학 이론의 주요 내용과 철학적 기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1. 해석학의 정의와 범위리처드 팔머는 해석학을 인간이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 2025. 1. 2.
폴 리쾨르의 해석학 - <악의 상징>을 중심으로 폴 리쾨르는 20세기 해석학적 철학의 선구자로, 인간 경험, 상징, 시간, 이야기, 윤리 등의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했습니다. 리쾨르의 철학은 다양한 사상적 전통을 통합하며, 해석학, 현상학, 실존주의, 신학, 그리고 윤리학 등에서 독창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리쾨르의 철학의 핵심은 해석학, 즉 의미와 텍스트의 해석입니다. 그는 인간의 경험과 실존이 상징과 이야기 속에서 표현된다고 보았으며, 이를 해석하는 과정이 철학의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습니다.그는 텍스트가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이 아니라, 다층적 의미를 담고 있는 "세계"라고 보았습니다. 해석학은 이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리쾨르는 해석학을 마르크스, 프로이트, 니체의 전통을 따라 텍스트 이면에 숨겨진 동기와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분석.. 2025.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