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귀스타브 르 봉 의 <군중심리> 읽기 귀스타브 르 봉(Gustave Le Bon)은 프랑스의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학자로, 그의 저서 《군중심리》에서 군중 행동과 심리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제시했습니다. 이 책은 대중심리학의 고전으로 평가 받으며, 군중의 행동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1895년에 쓰여진 책으로, 일부 구시대적 사상이 우리 현대인의 정서에 맞지 않겠다는 생각은 들지만, 그가 제시하는 원론적인 분석의 맥락은 현대에 와서도 충분히 적용할 만한 것입니다.1. 군중의 형성르 봉은 개인들이 군중 속에 들어가면 익명성과 집단의 힘으로 인해 개별적인 정체성을 잃고, 새로운 심리적 특성을 획득한다고 설명합니다.익명성: 군중 속에서 개인은 자신을 특정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아 책임감을 덜 느낍니다.감염: 군중 내의 정서와.. 2025. 1. 1.
서양 철학의 정수, 플라톤의 '국가론' 이란 학부 시절 필독서였던 플라톤의 ‘국가론’은 그 본질을 이해하기 앞서 다 읽어내기도 어려웠던 책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사회구조 속 톱니바퀴로 굴러가는 제 자신을 인식한 후로는 이 작품이 단순히 학점을 받기 위한 전공서적이 아닌 사회 질서와, 사회를 구성하는 게 무엇인지를 깨닫게 하여 더 가깝게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플라톤의 "국가론"은 철학, 정치학, 윤리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 대표적인 저작으로,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 책은 대화 형식으로 쓰였으며, 소크라테스가 주요 등장인물로 철학적 논의를 이끌어 갑니다. "국가"는 이상적인 정의의 개념을 탐구하고, 이상적인 국가와 개인의 삶을 설계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1. 구조 및 구성‘국가.. 2025. 1. 1.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대표 사상 쇼펜하우어는 독일의 철학자로, 그의 대표 사상은 주로 의지와 비관주의로 요약됩니다. 그의 철학은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과 동양 철학, 특히 인도 사상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사상을 간략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의지의 철학쇼펜하우어의 핵심 저서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에서 그는 세계를 의지와 표상의 이중적 관점으로 이해합니다.그는 인간의 삶이 의지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에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우리가 끊임없이 욕망하며, 욕망이 충족되면 새로운 욕망이 생기기 때문입니다.2. 비관주의쇼펜하우어는 삶을 본질적으로 고통스럽다고 보았습니다.3. 예술과 초월쇼펜하우어는 삶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 예술, 윤리적 삶, 그리고 금욕주의적 태도를 제안했습니다... 2025. 1. 1.